아이티랩 - 비트코인, 대안 화폐로 ‘주목’...'1년만에 가격 3배 급등' 한국 시장 대응은?

다양한 글로벌 이슈와 맞물려 비트코인 가격이 연일 롤러코스터를 타는 모습을 이어가면서, 비트코인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주요 국가들도 비트코인의 중요성을 인식해 시장 변화에 적극적인 대응을 펼치고 있다.

비트코인 가격은 중국과 인도에서의 수요가 꾸준히 늘면서 3년만에 1000달러를 넘어섰지만, 이후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전자화폐인 비트코인 거래를 조사한다는 사실이 전해져 하루만에 20%가 넘는 하락세를 기록하는 등 예측불허의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같은 기간 국내에서도 1비트코인 가격이 한때 최고가 160만원대에 거래돼 전국민적 이목을 집중시켰다. 불과 1년전 국내에서 비트코인 거래 가격이 50만원대였던 것을 비교하면 3배 이상 급등한 것이다. 현재는 110만원대 안팎의 시장가격을 형성하고 있다.

◆ 중국·인도 이어 신흥국 수요 급증…대안 통화로 각광

1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비트코인 가격은 1월 5일 1161.89달러까지 역대 최고가를 경신했고, 불과 하루 만에 23%가 폭락해 6일 장중에는 888.99달러까지 떨어지는 등 큰 가격 변동폭을 기록하고 있다. 앞서 비트코인 거래 가격이 1000달러를 넘긴 것은 2013년 11월 이후 약 3년만으로, 지난해초에 400달러 아래 가격에 거래됐던 것과 비교하면 불과 1년만에 약 137% 상승한 것이다.

이처럼 비트코인 가격이 심한 상승폭을 보이는 것은 중국과 인도를 중심으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유럽 내 영국의 하드 브렉시트 선언에 따른 경기 불확실성 증대와 미국의 트럼프 정권 출범, 여기에 남미의 베네수엘라, 브라질 등에서 추진 중인 화폐개혁과 뇌물스캔들 등도 비트코인의 수요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된다.

비트코인 가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중국이다. 지난해말 위안화 가치가 7%쯤 급락하면서 중국내 큰손들이 위안화를 대신할 통화를 찾고 있다. 실제 2016년 12월 31일부터 올해 1월 1일까지 단 24시간 동안 중국에서는 500만 비트코인이 거래됐는데, 이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380억위안(한화 6조4911억원)에 달한다.

이처럼 비트코인 가격이 급등한 배경에는 중국 당국이 위안화 가치가 떨어지는 것을 방어하기 위해 강력한 자본통제에 나선 것이 주효했다. 최근 중국은 자본의 해외 유출을 막기 위해 내국인의 해외송금을 제한하고 있다. 또한 해외 직접투자 한도를 강화하는 등 달러 자금의 유출을 막기 위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달러 반출을 막으려는 중국 정부의 규제가 강화되면서 자산가들은 정부의 감시망을 피할 수 있는 송금 수단인 비트코인을 선호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을 반영하듯 전세계 비트코인 가격은 최근 위안화 가치와 반대로 움직이는 양상이 짙어지고 있다.

인도 역시 비트코인의 가격 등락에 영향을 미치는 나라중 하나다. 지난해 11월 8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지하경제를 퇴출한다는 명분을 내세워 고액권 500루피(8900원)와 1000루피(1만7800원)의 유통을 중단했다.

현재 인도 내 고액권이 대거 폐기되면서 주로 현금을 사용하는 인도에서 현금 유동성의 86%가 사라진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곧바로 인도경제에는 현금부족 현상이 나타나기 시작했고, 현지 지하경제를 중심으로 비트코인이 활성화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
◆ 韓, 비트코인 활성화 추진…첩첩한 규제 걸림돌

전세계가 비트코인 시장에 주목하는 가운데, 우리 금융당국도 비트코인 거래 활성화에 동참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금융당국은 이르면 3월까지 비트코인을 포함한 가상화폐를 제도권으로 편입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금융위원회는 최근 서울청사에서 진행한 '2017년 업무계획 상세 브리핑'에서 비트코인을 활용해 이체·송금·보관·교환 등을 진행하는 업종의 근거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자금세탁방지 등의 규제를 마련해 거래 투명성을 확보할 예정이다.

가상화폐를 활용한 미래금융 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금융권 공동 블록체인 컨소시엄'을 구성해 공동연구와 파일럿 프로젝트를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번 프로젝트의 성과물이 될 블록체인 기술은 해외송금이나 인증절차에 도입될 예정이다.

시중은행 한 관계자는 "비트코인을 법정 화폐로 인정하려면 한국은행법을 개정해야 하고, 대외지급수단으로 인정하려면 외국환거래법을 고쳐야 한다"며 "현시점에서는 관련 제도를 정비하는 것보다 비트코인을 어떻게 활용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의견 0 신규등록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