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티랩 - 투자사와 기업에 직접 듣는 ‘증권형 토큰’ 전망

| BCS 행사에서 글로벌 STO 연합인 ‘STO COOP’이 발족 세레머니를 하였습니다.

지난 1월23·24일 이틀간 서울 용산 드래곤시티에서 ‘블록체인 융합 서밋: 체인플러스(이하 BCS)’가 개최되었습니다. 이번 행사는 기업의 블록체인 적용, 플랫폼과 디앱, 금융과 블록체인 등 쟁점이 되고 있는 블록체인 및 암호화폐 테마들에 관한 논의가 이루어졌습니다. 박원순 서울시장, 민원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차관, 실비오 스킴브리 몰타 디지털 경제 혁신 부 장관 등 각국 정부 기관의 인사들과 테라의 신현성 대표, 온톨로지 창업자인 준 리, 대시의 최고운영책임자(COO)인 로버트 위코 등 현재 블록체인 프로젝트팀과 벤처캐피탈사의 저명인사들이 대거 참여했습니다.

googletag.cmd.push(function() { googletag.defineSlot('/6357468/0.Mobile_Article_intext_1_300_250', [300, 250], 'div-gpt-ad-1468307418602-0').addService(googletag.pubads());googletag.pubads().collapseEmptyDivs();googletag.pubads().enableSyncRendering();googletag.enableServices();googletag.display('div-gpt-ad-1468307418602-0'); });

2019년 암호화폐 산업의 주요 트렌드 중 하나로 ‘증권형 토큰과 STO’가 꼽힙니다. 24일 행사에서도 ‘전통 금융시장에 새로운 지평을 가져올 STO의 등장’ 세션이 많은 주목을 받았습니다.

■ 증권형 토큰, 유동성과 효율성 높여 기존 증권 시장 보완할 수 있을 것

오픈파이낸스 네트워크의 최고 매출 책임자인 토빈 맥코마스는 미국내 증권형 토큰의 현황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오픈파이낸스 네트워크는 미국에서 디지털 대체 자산을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등록돼 있습니다.

맥코마스는 증권형 토큰이 미국에서는 증권형 토큰(Security tokens), 스마트 증권(Smart securities), 디지털 자산(Digital Asset) 등 다양한 용어로 불리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맥코마스는 블록체인이 자본 시장에 더 많은 영향력을 미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그리고 증권형 토큰은 규제를 회피하려는 방편이 아니며, 기존 주식 시장에 더 많은 유동성을 공급하고 자산 형태를 다양화하는 데 일조할 것이라 말했습니다.

맥코마스는 증권형 토큰의 장점을 설명하기 위해 미국 증권 시장의 현황을 설명했습니다. 현재 증권 시장은 중복되는 절차가 많아 비효율적으로 증권이 거래되고 있습니다. 특히 프라이빗 자산의 경우 유동성이 부족하며, 보통 7-10년 정도 자산이 묶여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기에 자산을 매도하려면 자산의 가치보다 30-50% 평가절하 당하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습니다. 또한 기존 증권 시장에서는 매매 시 신뢰를 확보하기 위해 ‘청산소’를 이용하고 있는데, 청산 절차에는 많은 시간이 소요됩니다. 청산소는 거래 이행을 보증하고, 종료 시까지 계약을 관리하는 제3기관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한국거래소’가 이러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맥코마스는 증권형 토큰을 이용하면 기존 증권 시장의 한계점을 개선할 수 있으리라 전망했습니다. 우선 토큰화는 실물 자산에 유동성을 높일 수 있으며, 효율성을 높여 거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 주장했습니다. 또한 기존에 8주가 소요되던 청산 및 결제 과정을 단 2분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기도 했습니다. 그리고 증권형 토큰이 자산의 가치를 보다 합리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을 것이며, 금융 접근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 평가했습니다.

■ ICO처럼 ‘대박’ 기대하기는 어려워

DX 익스체인지의 대표인 대니엘 스코우론스키는 디지털 증권 사업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DX 익스체인지는 구글, 페이스북, 아마존 등 나스닥에 상장된 주식을 ERC20 토큰으로 발행하여, 디지털화된 주식을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토큰 발행사의 과거 사업 이력과 디지털 증권이 증권형 토큰에 포함되는지에 대한 논란이 있지만, 1월7일 플랫폼을 런칭한 이래 큰 화제를 불러모았습니다. DX 익스체인지는 에스토니아에서 거래소 라이선스를 취득했기에 유럽경제지역(EEA) 협약 지역에서 사업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미국 시민권자의 경우 이용을 할 수 없습니다.

DX 익스체인지가 발행하는 ‘토큰’은 실제 주식들과 일대일 비율로 담보됩니다. DX 익스체인지는 나스닥과 블룸버그와 사업적으로 협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나스닥과는 기술적 부문에서 파트너십을 맺었는데, 나스닥의 매칭 엔진을 사용해 DX 익스체인지의 매칭 프로세스를 처리합니다. 블룸버그와는 미디어 스폰서십 형태로 추후 함께 행사를 개최할 예정이라 합니다.

스코우론스키는 단 10달러만으로도 투자할 수 있다는 것을 디지털 주식의 매력으로 삼았습니다. 주식을 토큰화해 쪼개면, 1주에 몇십원에서 몇백만원에 이르는 유명 기업들의 주식 일부를 적은 금액으로도 투자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런 경우 주식 거래의 유동성도 함께 증대되게 됩니다.

STO가 아태시장에서는 뜨거운 주제인데,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대해 질문하자 스코우론스키 대표는 “STO는 이미 가치가 산정되어 있는 실물 자산을 토큰화한다. 실물 자산(주식, 부동산, 미술품 등)을 담보로 하는 토큰들의 가격이 ICO 때의 하이프(Hype) 현상처럼 치솟지는 않을 것이다”라고 답변했습니다. 스코우론스키 대표는 또 “소위 말해 다음 ‘대박’이 날 트렌드를 언급할 때 STO가 자주 언급되지만, ‘대박’으로 부르는 것은 조심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펀드레이징의 새로운 표준으로 보는 것이 좋다”고 덧붙였습니다.

■ STO에 대한 다양한 전망

패널토의 세션에서 STO 플랫폼, 블록체인 연구학회, 투자사(캐피털)의 인사가 한자리에 모여 STO에 대해 논의하였습니다.

‘2019년 말까지 10개 거래소가 증권형 토큰을 거래할 것이고, 증권형 토큰 발행이 100건 이상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에 동의하는가’라는 물음에 STO 플랫폼 시큐리타이즈의 사업개발 총괄을 맡은 스펜서 카예는 “시큐리타이즈 역시 100건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반면 STO 플랫폼 폴리매스의 헤슬린 김은 “2019년은 오히려 규제의 해가 될 것”이라는 조심스러운 답변을 내놓았습니다. 또한 헤슬리 김은 STO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좋은 국가로 빠른 진행을 원하면 필리핀을, 장기적인 안정성을 중시하는 경우 싱가포르를 추천했습니다.

현재 증권형 토큰의 표준은 ERC-1400, ERC-1450, SRC-20, DS 토큰 등 다양합니다. 이에 증권형 토큰 표준을 정립할 필요성 여부에 대한 물음에 폴리매스는 “산업 표준에 도달하는 것은 중요하며, 경쟁사들 역시 협력해 표준을 제정해야 한다. 많은 기업이 증권형 토큰 시장에 참여하면서 올해안에 표준에 대한 정리가 이루어질 것이라 예상한다”라고 말했습니다. 반면 디사이퍼의 오세진 수석연구원은 “ERC-20도 커뮤니티가 선택한 표준으로, 기업보다는 커뮤니티를 주목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중국의 STO 현황에 대한 물음에, 비엔 캐피탈의 초기 창업자인 제프리 츄 의장은 중국의 경우 시간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또한 중국 정부는 STO를 변형된 ICO로 보고 있으며, 대중들이 STO를 받아들이기에 어려운점이 있어 허용될 가능성은 아직 높지 않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렇기에 증권형 토큰을 일컬을 때 ‘토큰’이라는 단어보다는 ‘디지털 증권(Digital security)’처럼 사람들이 이해하기 쉬운 개념으로 재정의할 것을 제안했습니다.

■ STO에 대한 글로벌 협력과 공론화

케빈 캐피탈의 데빈 황 대표는 STO 연합인 ‘STO COOP’을 발족하며 “기존 암호화폐 마켓과 증권형 토큰은 결이 다르므로 국경을 넘나드는 다국적 협력이 필요하고, 각국이 정한 아젠다를 함께 논의해야 한다”라며 글로벌 차원의 협력을 강조했습니다.

이번 BCS를 개최한 체인파트너스의 정주용 대표의 마무리 발표로 2일간의 행사가 마무리됐습니다. 정주용 대표는 이전에 금융 실무자로 활동할 때, VIE(Variable Interest Entity) 구조에 대한 국내 규제로 인해 알리바바, 텐센트와 같은 중국 인터넷 기업들을 한국에 상장시킬 수 없었던 상황을 이야기했습니다. 반면 홍콩, 미국의 경우 이를 가능하게 해 중국의 기업들이 상장된 예시를 들며 STO 공론화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의견 0 신규등록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