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티랩 - 매출 2조원 스타벅스 충전금, 동네 미용실 선수금과 같다고?

[지디넷코리아]

스타벅스(에스씨케이컴퍼니) 충전금이 해킹으로 부정 결제가 이뤄진 가운데, 스타벅스의 개인 정보 보호 공시나 선불충전금이 사실상 법의 사각지대에 놓였다. 연매출 2조원이 육박하고 선불충전금 규모가 네이버파이낸셜을 훌쩍 넘는 가운데, 형평성이 없다는 지적이 나온다.

20일 스타벅스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정한 정보 보호 공시 의무 대상 기업에도 포함되지 않아 개인 정보 보호 현황을 알 수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정보 보호 공시 제도는 정보 보호 투자·인력·활동 등 기업의 정보 보호 현황을 공개하는 자율·의무공시 제도로, 대통령령으로 정한 사업분야·매출액·이용자 수를 고려해 해당 기업만 공시하도록 되어 있다.

스타벅스 모바일 앱 화면.

스타벅스는 올해 정보 보호 공시 대상 기업에 포함되지 않았다. 제도에 따르면 매출액 3천억원 이상인 경우 공시 대상이지만 스타벅스는 비상장기업이라 제외됐다. 스타벅스의 작년 매출액은 2조5천939억원이다. 심지어 스타벅스는 클라우드 시스템을 사용하지만 기준에 부합하지 않아 대상 기업에 제외됐다.

지난 13일 스타벅스 이용자 90여명의 계정이 해킹돼 충전금 약 800만 원이 부정 결제가 일어났다. 올 초에는 스타벅스를 운영하는 에스씨케이(SCK)컴퍼니가 홈페이지를 고도화하는 과정에서 개인 정보가 유출됐으나 당국에 신고하지 않아 개인정보보호위원회로부터 1천만 원의 과태료를 부과 받았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측은 "이번 건에 대해 스타벅스의 신고가 있진 않았다"며 "개인정보 유출이 있었는지 없었는지를 보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또 과거 스타벅스가 개인정보보호위원회로부터 받은 과태료 처분은 "신고 기간이 있는데 이를 넘긴 건"이라고 말했다.

정보 보호뿐만 아니라 선불금에 대한 관리를 감시할 수 있는 법적 규정도 전무한 실정이다. 스타벅스의 작년 말 기준 선불금은 약 2천983억원으로 집계됐다. 추후 고객에게 포인트로 돌려줘야 하는 미사용 포인트 부채는 205억7천957만원이다. 올해 6월말 기준 네이버파이낸셜의 선불충전금이 1천36억7천만원 수준이다.

네이버파이낸셜이나 카카오페이 등은 전자금융법상 선불전자업체로 등록돼 금융당국의 가이드라인을 따르고 있다. 매월 선불충전금 잔액을 공시하고 이 충전금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를 공개하고 있다.

그렇지만 스타벅스는 선불전자업체가 아니라 선불금이 어떻게 쓰이는지 또 얼마나 되는지를 고객이 확인할 길이 없다.

금융감독원 전자금융팀 측은 "스타벅스에서 충전해서 사용할 때가 스타벅스밖에 없어 선불전자업체 등록 요건에 맞지 않다"며 "미용실에서 미리 10만원이나 20만원을 내놓고 기한 내 서비스를 공급받는 것과 다를게 없다. 선불충전금이 아닌 선수금"이라고 답했다.

선불전자업체서는 '형평성'에 어긋나는 조치로 보고 있다. 전자금융법 개정안이 국회 문턱을 통과하면 선불전자업체는 법에 따라 관리되지만, 스타벅스는 관리·감독 대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선불전자업체 관계자들은 "중·소형 업체들도 현재는 가이드라인에 따라 선불금 규모나 관리 방식을 공지하는데 이보다 몸집이 큰 스타벅스가 해당되지 않는다면 법이 무슨 소용이 있겠느냐"며 "사각지대를 관리할 수 있는 방식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의견 0 신규등록      목록